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2018년부터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에도 조금의 변화가 생기는데요. 오늘은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방법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변화 내용들을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는 초등학교 6학년 과정에서 연계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기본적인 개념 부분부터 꼼꼼하게 해나가는 게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어요.

↑ 먼저 수학 교과서의 변화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함수 개념이 사라지고, 통계의 순서가 바뀌었답니다 :)
정확한 수학 교과서 내용은 위의 이미지 참고하세요!

바뀌기 전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총 7개의 단원을 배우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은 6개의 단원을 배운답니다. 그리고 함수 개념은 중학교
2학년 과정으로 상향 이동되어 1학년 때는 함수 개념을 별도로 배우지 않아요.
함수값을 구하는 것도 모두 2학년 때 배운답니다.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를 위해서는 변화되는 부분을 정확히 아는 것만큼
중요한 게 없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때 배운 정비례와 반비례 내용도
중학교 1학년 과정으로 상향 이동되었습니다.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를 할 때,
함수라는 용어나 개념 자체가 빠지게 되어 그 부분은 빼고 학습을 해도 된답니다.
하지만 정비례와 반비례, 관계식과 그래프는 학습해야 하는 부분이에요!

중학교 1학년 수학은 갑자기 완전 새로운 내용을 배우는 게 아니랍니다.
초등학교 때 배운 수학과 전혀 다른 내용을 배우는 게 아니라는 것이죠.
그래서 중학교 수학은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해요.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는
초등학교 때 배운 내용이 뼈대가 되어 그 위에 조금씩 새로운 살을 붙여나가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탄탄한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 배운 수학 개념 중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는 게 중요하답니다. 그래야 중학교 수학에서 어려움을 크게 느끼지 않습니다.
무작정 앞서나가고 싶은 마음에 선행학습부터 시작하는 건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니에요.
선행의 정도가 절대로 학생의 수학 실력과 비례하지 않습니다. 막연히 불안해서 선행을
해나가는 것보다 우리 아이의 현재 상황과 목표를 잘 파악하는 게 우선이에요!

그럼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 좋은 걸까요? 이미 초등학교 6학년 과정을 탄탄하게
잘 잡아뒀다면 중학교 과정을 조금씩 선행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초등학교 6학년 과정 전체에 대한 개념과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럼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를 하기 위한 점검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예를 들어, 앞선 과정의 공식을 정확히 알고 있는지 확인해보는 거에요.
원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지 못하면 중학교 때 배우는 부채꼴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이해할 수 없겠죠. 그리고 내가 어떤 부분을 정확히 모르는지 알기 위해서는,
이미 한 번 풀었던 학습지나 문제집의 오답 위주로 다시 한 번 풀어보는 게 좋습니다.
똑같은 부분에서 또 틀린다면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개념부터 살펴보는 게 중요하답니다.
특히, 중하위권 학생들은 초등학교 5,6학년 과정을 충분히 복습하는 게 좋습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방학 때 선행을 하고, 학기 중에는 심화 부분을 공략하는 게 좋은 방법이에요.

중학교 1학년 수학을 공부할 때 갑자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그 이유는 초등학교 수학과는 분명히 다르기 때문인데요. 낯선 공식들이 하나 둘
등장하고 딱딱한 개념 설명으로 인해 괜한 두려움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어려움이 느껴진다고 해서 쉽게 포기하는 것보다 여러 번 들여다보며 무슨 뜻일지
생각해보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중학교 1학년 수학 공부의 포인트는 나에게 맞는
학습방법을 찾아 목표를 갖고 공부를 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중학교 1학년 수학을 공부할 때, 수박 겉핥기식의 선행보다는 학기 중 심화과정까지
충실히 공부를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랍니다. 그리고 수학 실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려운 문제를 풀 때 잘 안 된다고 금방 답지를 펴보는 것보다, 풀릴 때까지
끝까지 싸워보는 끈기가 필요하답니다. 문제를 곱씹어보다가 결국 답을 찾게 될 때,
'수학은 재미있는 과목이구나.' 라고 느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더 많은 수학공부이야기는 @studymento에 있습니다. 클릭!!